최근 발표는 못찾았지만, 2020년 국세청의 발표에 의하면 환급금을 찾아가지 않는 인원이 약 30만 명이 육박하며, 금액을 따지면 1인당 48만 원 정도에 해당한다고 합니다. 잠깐 시간 투자하셔서 미수령 환급금 조회 통해서 나도 몰랐던 내돈 찾으시길 바랍니다.
미수령 환급금 조회방법
국세, 지방세 등 미환급금에 대한 정보가 개별 기관에 산재되어 있어 그동안 불편한 부분이 많았습니다. 따라서 행정안전부는 미환급금 정보를 일괄 제공하는 통합서비스를 시행하게 되었습니다.
미수령 환급금 조회방법이 다양하게 있으니 본인에게 편한 방법을 선택하셔서 숨은 돈 찾아가세요.
1. 직접 자신이 거주하는 곳의 지역 세무서 방문
2. 국세청 홈택스(웹사이트)
3. 손택스(모바일 애플리케이션)
4. 정부 24(웹사이트)
5. 삼쩜삼(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국세청 홈택스 | 바로가기[PC] | |
모바일 손택스 | 아이폰[바로가기] | 갤럭시[바로가기] |
정부24 | 바로가기[PC] | |
삼 쩜 쌈 | 아이폰[바로가기] | 갤럭시[바로가기] |
미수령 환급금 조회 수수료
- 직접 세무서에 방문하거나 홈택스, 손택스, 정부 24를 이용하는 것: 무료
- '삼 쩜 삼' 애플리케이션을 사용 시: 환급금 조회할 때는 무료/환급 신고할 때는 수수료 2000원
환급금 받는 방법
관할 세무서
우편과 팩스, 전화로 수령 계좌 등록이 가능합니다. 단, 전화로 등록하실 때에는 환급금이 500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
홈택스 또는 손택스
- 홈택스: 신청 및 제출 → 주요 세무서류 신청 → 환급계좌 개설(변경) 신고 → 수령 계좌 등록
- 손택스: 신고 및 신청 → 계좌 개설 관리 → 환급계좌 개설(변경) 신고 → 수령 계좌 등록
정부24
행정정보 공동이용(e하나로 민원) → '미환급금 찾기' 신청 → 통합조회 → 유무 확인 결과 → 상세내역 조회 → 환급신청
삼 쩜 삼
연말정산이나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실 때, '홈택스'가 너무 복잡하게 느껴진다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애플리케이션 '삼 쩜 삼'이 생겼다고 합니다. 단순 환급금 조회 시에는 무료이고, 환급 신고하실 때에는 2000원의 수수료가 듭니다.
하지만, 수수료를 내야 하는 서비스인 만큼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좀 더 자세한 미수령 환급금 조회 방법을 원하신다면 아래 글을 확인해보세요.
미환급금 관련 문의처
미환급금 구분 | 소관부처 | 전화번호 |
국세 미환급금 | 국세청 | 126 |
고용·산재보험료 과오납금 | 근로복지공단 | 1588-0075 |
국민연금 보험료 과오납금 | 국민연금공단 | 1355 |
건강보험 미환급금 | 국민건강보험공단 | 1577-1000 |
본인부단금환급금 | ||
본인부담상한액 초과금 | ||
기타징수금 과오납환급금 | ||
보관금 및 송달료 | 대법원 | 02-3480-1715 |
지방세 환급금 | 서울특별시 | 120 |
행정안전부(기타 지역) | 110 | |
유료방송 미환급금 |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 1577-4278 |
통신 미환급금 |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 | 02-2015-9163 |
국세청 관계자는 국세, 지방세 등의 환급금 지급 안내를 이용한 보이스 피싱, 스미싱 등 금융사기에 휘말리지 말라며, 세무서 직원은 어떠한 경우에도 개인의 계좌 비밀번호나 카드번호 등을 요구하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혹시나 환급금 지급 안내 문자 받게 되시면 링크 절대 클릭하지 마시고, 직접 인터넷 또는 앱 접속하셔서 미수령 환급금 조회 및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총정리 (상한액, 하한액, 기준월소득액표) (0) | 2022.09.14 |
---|---|
기저귀 바우처 신청방법 (1분 투자로 매달 18만원 받기) (1) | 2022.09.13 |
기초생활수급자 등 취약계층 저금리 대출 BEST 10 (0) | 2022.09.13 |
은행 고객센터 콜센터 전화번호 모음 (은행코드 포함) (0) | 2022.09.13 |
기저귀 분유 바우처 잔액조회 방법 (국민행복카드) (0) | 2022.09.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