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패스는 교통비를 절감할 수 있는 혜택을 제공하는 정책으로, 2024년 5월 1일부터 알뜰교통카드를 대체하게 됩니다. 출퇴근이나 주말 나들이 등 다양한 목적으로 대중교통을 활용하는 분들께는 K-패스 알뜰 교통카드를 적극 추천합니다. K-패스의 신청과 이용 방법, 그리고 제공되는 혜택에 대해 총정리하겠습니다.
알뜰교통카드에서 K패스 전환
이미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고 계신 분들은 4월 30일까지 알뜰교통카드 앱에서 간편하게 전환 신청만 하시면 됩니다. 놓치지 마시고, 6월 30일까지는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에서도 전환이 가능합니다.
K-패스 이용 방법
K-패스 카드 발급
2024년 4월 24일부터 30일 사이에 K-패스 카드를 받으셨다면,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나 앱을 통해 회원가입 후 K-패스 회원 전환을 신청하세요.
자동 적립
K-패스 교통카드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2024년 5월 1일부터 자동으로 적립됩니다.
주소지 등록
주소지를 등록하면 지자체 혜택도 자동으로 적용됩니다. 앱을 통해 간편하게 주소지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K-패스 지원 내용
K-패스 사업은 국비와 지방비로 운영되기 때문에 주민등록지상 주소지가 K-패스 사업에 참여 지자체여야 합니다.
참여 지자체
K-패스는 2024년 5월 1일부터 전국 189개 지자체에서 시행됩니다. 인구 10만 명 이상인 모든 기초자치단체와 세종특별자치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및 서귀포시를 포함합니다.
혜택
K-패스의 혜택을 통해 편리하고 경제적인 대중교통 이용 K-패스는 전국 대중교통 이용료에 대한 할인 혜택을 제공합니다. 버스, 지하철, 신분당선, 광역버스, GTX 등과 같은 전국의 대중교통이 이 혜택의 대상입니다.
또한, 이동거리에 관계 없이 월 15회 이상의 대중교통 이용 시, 일정 비율의 이용 금액을 적립합니다. 이는 일반인의 경우 20%, 청년의 경우 30%, 저소득층의 경우 53.3%에 달합니다.
지자체 혜택은 주소지 등록 시 자동으로 적용됩니다. 이를 통해 해당 지자체의 추가 혜택을 누리실 수 있습니다.
더불어, 출발 또는 도착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자동으로 적립되어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K-패스는 알뜰교통카드 대비 확대된 할인 혜택을 제공합니다. 특히 청년의 경우 최대 9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 이를 통해 더욱 경제적이고 편리한 대중교통을 즐길 수 있습니다.
참고로, 일부 지자체에서는 K-패스를 기반으로 한 추가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경기도민은 '경기패스'를 통해 최대 3,000원까지의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K-패스 신청 방법
K-패스는 국민, 농협, BC, 삼성, 신한, 우리, 하나, 현대, DGB유페이, 이동의 즐거움(모바일 이즐, 카카오페이 모바일 교통카드) 등 다양한 카드사에서 발급됩니다. 각 카드사별로 추가 혜택도 제공되므로, 자주 사용하는 카드를 선택하여 신청하세요.
신규 가입자를 위한 간편한 신청 방법
신규 가입자는 먼저 카드사에서 카드를 발급받은 후, K-패스 앱을 통해 카드를 등록하면 됩니다. 이후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 이용자의 전환
알뜰교통카드를 이미 사용 중이신 분들은 알뜰교통카드 앱 또는 홈페이지를 통해 간편하게 전환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단, 카드번호 등록은 필수입니다.
유의사항
K-패스 회원으로 전환하거나 회원가입을 진행하기 전까지는 이용 내역이 적립되지 않습니다.
K-PASS 문의처
K-패스 고객센터: 1644-9999
알뜰교통카드 고객센터: 1577-0123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경기패스 카드 신청 방법 및 대상 | 조건 | 환급액 | 카드사 (1) | 2024.04.28 |
---|---|
자영업자·소상공인 이자환급 신청 방법 및 대상 | 조건 (중소금융 대출 이용) (1) | 2024.04.27 |
2024년 지역난방 취약계층 특별요금 지원 신청 방법 및 지원금 자격 조건 | 대상 | 금액 (1) | 2024.04.24 |
지역난방 취약계층 특별요금 지원 공급 지역 확인 방법 (0) | 2024.04.23 |
2024 국가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및 예약 방법 | 검진 항목 확인하기 (0) | 2024.04.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