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기준 중위소득 65%를 찾기 어려워 따로 찾아보았습니다. 가구원수당 중위소득 65프로와 그에 따른 건강보험료는 얼마나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기준 중위소득 65%
기준 중위소득 65%는 사회복지 분야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이는 전체 인구의 중간 소득 대비 65% 이하인 가구를 뜻합니다. 이러한 가구들은 경제적으로 취약한 가구로 분류되며, 보호 및 지원이 필요한 대상으로 간주됩니다. 이들을 대상으로 국가 및 지자체에서는 다양한 복지정책과 사회보장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국가에서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나 차상위계층 지원사업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지자체에서는 지역사회복지시설 운영, 주거급여, 의료급여, 교육비 지원 등 다양한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가구원수당 기준 중위소득 65%
- 1인: 1621000
- 2인: 2246000
- 3인: 2883000
- 4인: 3511000
- 5인: 4115000
- 6인: 4699000
- 7인: 5270000
- 8인: 5842000
- 9인: 6414000
- 10인: 6985000
기준중위소득 65%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기준 중위소득은 한 나라의 전체 소득을 중간값 기준으로 나눈 값으로, 해당 국가의 경제 상황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건강보험료는 건강보험 가입자가 납부하는 보험료로, 해당 국가에서 건강보험제도가 시행되고 있는 경우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를 납부하게 됩니다. 건강보험제도를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예산이 더 많아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기준 중위소득이 높은 국가에서는 건강보험료가 높게 책정됩니다.
가구원수 |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 혼합 |
3인 | 102,790 | 38,475 | 103,263 |
4인 | 125,074 | 72,263 | 126,502 |
5인 | 147,280 | 105,944 | 148,789 |
6인 | 166,996 | 126,629 | 169,107 |
7인 | 189,109 | 147,855 | 191,845 |
8인 | 209,382 | 171,468 | 212,442 |
9인 | 230,142 | 196,236 | 233,952 |
10인 | 250,789 | 223,186 | 255,791 |
그리드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산후조리비 지원 신청방법 | 기준 조건 (0) | 2023.04.12 |
---|---|
근로자 반값 휴가비 지원금 20만원 몰랐다면 지금 신청하세요 (0) | 2023.04.05 |
2023 근로장려금 신청 자격 | 지급일 | 재산 및 소득조건 | 문의처 (0) | 2023.03.31 |
경력단절여성 고용장려금 자격 조건 및 금액 | 신청방법 (0) | 2023.03.30 |
서울시 난자냉동 지원금 신청방법 조건 대상 자격 (보조금 최대 200만원) (0) | 2023.03.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