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매달 납부할 의무가 있는 건강보험료는 도대체 어떻게 정해지는 걸까요? 2023년 건강보험료 산정기준표와 건강보험료 산정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건강보험료 산정 방법이 어려우시면 글 아래쪽에서 건강보험 산정기준표만 확인하시면 됩니다.
국민건강보험이란?
국민건강보험제도는 여러 가지 이유로 입은 질병이나 부상으로 발생한 진료비가 가계에 과도한 부담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만들어진 제도입니다. 국민건강보험은 의무적인 보험가입 및 보험료 납부, 부담능력에 따라 차등적인 보험료 부과, 균등한 보장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본인부담 초과 의료비 환급 신청 방법
본인부담상한액 초과 의료비가 지급됩니다. 약 175만 명에게 2조 3,860억 원을 지급하는데, 1인당 평균 136만 원의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지급 대상자는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안
fabulous7.tistory.com
2023년 건강보험료 산정 방식
월별 보험료 산정
직장가입자의 월별 보험료액은 다음 계산식에 따라 산정됩니다.
1. 보수월액보험료: 보수월액 X 보험료율 (2023년 기준 7.09%)
보수월액
보수월액은 직장가입자가 지급받는 보수를 기준으로 하여 산정합니다. 휴직 등으로 보수의 전부나 일부를 받지 못했을 때에는 해당 사유가 생기기 전 달의 보수월액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보험료율
국외에서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직장가입자에 대한 보험료율은 7.09%의 2분의 1로 합니다.
2. 소득월액보험료: 소득월액 X 보험료율
소득월액
소득월액은 보수월액 산정에 포함된 보수를 제외한 직장가입자의 소득(보수 외 소득)이 연간 2,0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에 산정됩니다.
소득월액보험료 = (연간 보수 외 소득 - 2,000만원(기본 공제금액)) ÷ 12 × 7.09%
비과세소득은 제외한 소득이 1천만원 이하인 경우에는 해당 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은 합산하지 않습니다.
2023년 건강보험료 산정기준표
기준 중위소득 100%로 한, 건강보험료 산정 기준표입니다.

위 표에 나와 있지 않은 기준 중위소득(= 건강보험 산정기준)을 확인하고 싶으시면 아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확인 가능 %: 30%, 40%, 47%, 50%,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200%
2023년 기준 중위소득 30%부터 200%까지 보기
기준 중위소득이란 우리나라 전체 가구를 소득 순으로 줄을 세웠을 때, 가장 중간에 있는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생계급여, 의료급여 등의 급여와 각종 지원금의 기준이 되
fabulous7.tistory.com
건강보험료 확인 방법
-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www.nhis.or.kr)
- 앱 (The건강보험: ios 아이폰/ Android 갤럭시)
- 정부24 홈페이지 (www.gov.kr)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간편하게 하는 방법
국민연금을 꼬박꼬박 내고 계신 분이시라면, 지금까지 내가 납부한 국민연금 납부액이 얼마나 될지 궁금하실 텐데요. 다행히도(?) 그동안 납부한 국민연금 보험료 내역은 매우 간편하게 확인할
fabulous7.tistory.com
미수령 환급금 조회 (1분 투자로 내돈 48만원 다시 돌려받자)
최근 발표는 못찾았지만, 2020년 국세청의 발표에 의하면 환급금을 찾아가지 않는 인원이 약 30만 명이 육박하며, 금액을 따지면 1인당 48만 원 정도에 해당한다고 합니다. 잠깐 시간 투자하셔서
fabulous7.tistor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도요금 감면대상 및 신청 방법 (수도세 감면) (0) | 2023.02.15 |
---|---|
코로나 격리자 지원금 신청 | 방법 A to Z (0) | 2023.02.09 |
이니시스 결제내역 조회 및 확인 방법 (0) | 2023.02.07 |
빽다방 창업비용 실제로 살펴보니 (0) | 2023.02.05 |
고향사랑기부제 답례품 및 기부방법 총정리(13만원 혜택 방법) (0) | 2023.01.23 |
댓글